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8 No.1 pp.82-93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3.8.82

Domestic Research Trends on Blended Learning Applied for Nursing Students: A Scoping Review

Soojin Chung1, Hyun Hee Jo2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Suwon Science College, Hwaseong, Korea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Hyejeon College, Chungnam, Korea
Corresponding author: Jo, Hyun Hee https://orcid.org/0000-0003-2997-0054 Department of Nursing, Hyejeon College, 19 Daehac 1-gil, Hongseong-eup, Hongseong 32244, Korea. Tel: +82-41-630-5243, Fax: +82-41-630-5296, E-mail: jhh79@naver.com
March 27, 2023 ; May 1, 2023 ; May 1, 2023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studies on blend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Methods:

This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following the process suggested by Arksey and O’Malley: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s; 2) searching for relevant studies; 3) study selection; 4) charting the data; 5) collating, summarizing, and reporting the results; and 6) optional consultation. Relevant studies were searched using the keywords “blended learning” and “nursing” in the domestic databases RISS, KISS, and DBpia.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to 203 articles, and 34 were finally selected.


Results:

The final 34 studies included 30 quantitative and four qualitative studies. Most of the studies were experimental studies.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blended learning was utilized more in the classroom than in the lab or clinical setting. Furthermore, it was mainly applied by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approaches. It improved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clinical performa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clusion:

Research on blend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has increased over time. Blended learning positively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in both the classroom and lab or in clinical teaching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future studies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hould be expanded, and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are recommended.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혼합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정 수 진1, 조 현희2
1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2혜전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지식정보화 시대이자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한 지식과 과학기술의 융합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이에 교육 방법에서도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식 교 육만으로는 변화하는 시대에 부응하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에 어 려움이 있어 교수자중심 수업에서 학습자중심 수업으로 변화가 모색되었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 도입된 이러닝(e-learning)은 학습자에게 방대한 지식과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화하여 지적정보사회에 필요한 교육 방 법으로 주목을 받아왔다[1]. 또한, 코로나19의 발발로 전 세계 적으로 온라인 학습의 수요가 급증하고 국내에서도 대부분의 교육기관이 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전환하면서 이러닝의 확산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2,3].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새로운 체계가 정착하기 위 해서는 시행착오가 불가피하다. 비대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는 수업 설계에서의 기술적 준비와 수업 운영의 관리와 관련하여 여러 문제점과 한계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학습자에 게는 집중도 저하,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의 한계, 자기 주도적 인 학습 능력 부족 등으로 인한 학습격차가 초래되었다[4,5]. 이러한 비대면 학습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의 완전 종식이 아닌 같이(with) 가는 상황 속에서 온라인 교육이 포스 트 코로나(post COVID-19) 시대에서의 표준으로 자리하게 되 고[6] 면대면 학습이 지니는 대체할 수 없는 가치 또한 확인되면 서, 미래 학습에서는 온라인과 교실 수업을 종합적으로 설계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3]. 이에 대학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과 대면 수업을 혼합하는 혼합학습(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이 점차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발전시키기 위 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7].

    혼합학습이란 학습자들의 학습 내용 및 학습경험을 강화하 기 위하여 여러 학습 방법을 결합하여 진행하는 학습으로, 시 공간의 제약을 줄이는 온라인 학습의 장점과 학습자와 교수자 그리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오프라인 학습의 장점을 결합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학습 형태로 정의 되며[1,8], 점차 그 개념과 영역이 확장되어 학습 환경의 결합을 넘어 학습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을 높이기 위한 학습자 중심 의 접근 방법으로서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추세이다[8]. 혼 합학습의 대표적 모델로는 순환 모델(Rotation Model), 플렉스 모델(Flex Learning), 알라카르테 모델(A La Carte Model) 등 이 있는데, 순환모델은 온라인 학습을 포함하여 그룹학습, 토 의, 프로젝트 활동이나 개별 과제 등을 정해진 시간에 따라 순 환하여 학습하는 설계이고, 플렉스 모델은 온라인 학습이 주 를 이루어 개별화된 일정에 따른 자가 학습이 중심이 되며 교 수자가 필요시마다 대면으로 지도하고 지원하는 수업을 말하 며, 알라카르테 모델은 학습자가 부분적으로 대면 수업과 온 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선택권을 가지며 교수자가 온라인이나 교실에서 일대일 지원을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9]. 코로나19 와 같은 응급 상황 속에서 전통적인 대면 학습이 이러한 혼합 학습 모델로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지 학습 성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결과적으로 학교와 대학, 직업 훈련에서 혼합학습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간호교육에서도 지식정보화 시대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 기 위하여 전통적인 수업방식만이 아닌 이러닝을 활용한 혼합 학습이 시도되고 있다[10]. 이론과 실습이 중요한 간호교육에 서 혼합학습의 적용은 반복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자 기 주도적인 학습을 강화하여 일회성 대면 수업이나 이러닝 을 단독으로 활용하는 데서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하는 학습 법이 될 수 있다[11,12].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학습자는 성찰을 통해 자기 주도 적인 학습 태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전의 부족한 학습을 보완 하고 현재 습득한 지식을 결합해 통합적인 지식을 갖추려는 노력을 보였다[13,14]. 또한 혼합학습 적용은 간호대학생의 내재 동기, 학습 만족도와도 관계가 있으며 이들의 비판적 사 고를 향상하고, 의사소통 기술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증진 한다고 보고되었다[15]. 이렇듯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 행연구들에서 혼합학습 적용에 따른 이점이나 긍정적인 경험 이 보고되고 있어, 혼합학습은 학습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학습 방법으 로 조명된다.

    최근 간호교육에서 혼합학습과 관련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 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연구도 점차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새롭게 나타나는 중재 경험이나 효과의 근거와 관련한 연구 질문을 다루기 위해서는 문헌을 모 아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을 수행하는 것이 유용 하다[16].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어떠한 연구 분야가 복잡하거나 포괄적으로 검토되지 않았을 때 이의 핵심 개념과 이용할 수 있 는 근거의 주요 출처와 유형을 빠르게 지도화(mapping)하는 방 법이다[17]. 본 연구에서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하여 간호대 학생에게 적용한 혼합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 연 구의 방법과 내용의 주요 정보를 분석하고 요약하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의 혼합학습 관련 기초지식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 의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이에 대한 지식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 로 기대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혼합학습에 대 한 국내 연구를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으로 고찰하여 향후 간호교육에서 혼합학습의 활용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 이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혼합학습을 다룬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 로서 Arksey와 O'Malley [17]가 제시한 단계에 따라 1) 연구 질문 규명, 2) 관련 문헌 검색, 3) 문헌 선정, 4) 자료 기록, 5) 분 석 결과 요약 및 보고, 6) 조언 과정으로 수행하였다.

    2. 연구절차

    1) 연구 질문 규명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연구설계는 어떠한가?’, ‘간호대학생을 대 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적용교과목은 무엇인 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혼합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혼합학 습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주요 측정변수는 무엇인가?’, ‘간호대 학생을 대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국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2) 관련 문헌 검색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혼합 학습 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이다. 문헌 검색은 2022년 7월 28일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인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 학술정보시스템(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를 이용하여 한국어 주제어인 ‘간호’와 ‘블렌디드 러닝’ 또는 ‘혼합학습’을 조합하였고, 영어 주제어인 ‘blended learning’과 ‘nursing’을 조합하여 수행하였다.

    3) 문헌 선정

    문헌 선정의 포함기준은 1) 국내 학술지 게재 연구, 2) 간호 대학생 대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연구, 3) 한국어 또는 영어 로 출판된 연구이다. 학술대회 발표 자료나 학위논문은 제외기 준으로 하였다.

    RISS 106편, KISS 22편, DBPia 75편의 총 203편 논문이 검 색되었으며, 121편의 중복 논문은 제외하고 82편의 논문의 제 목과 초록을 연구자 2인이 독립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주제 와 관련성이 낮거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닌 논 문, 학술대회 발표 자료, 전문(full-text)이 제공되지 않는 논문 은 제거하여 37편의 논문을 1차 선정하였다. 1차 선정 이후 각 논문의 원문을 확보하여 개별적으로 전문을 읽은 후 선정 및 배 제기준에 부합하는지 검토하고 두 연구자가 합의에 도달할 때 까지 논의하여 최종 분석 논문을 결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간호 대학생에게 적용하지 않은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만 다룬 논문 2 편과 주제어인 혼합학습이 언급되지 않은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거꾸로 학습) 관련 논문 1편을 제외하고 총 34편의 문헌을 분석자료로 선정하였다. 문헌 선정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4) 자료 기록

    간호대학생의 혼합수업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 여 Armstrong 등[18]이 제시한 기준을 참고하여 저자, 게재연 도, 연구 지역, 중재 형식, 연구대상자, 연구방법, 측정도구, 연 구결과를 분석하였다.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기록을 수행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의 기술통계를 사용 하여 분석하고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는 양적연구, 질적연구 순서로 기술하여 정리하였다.

    연 구 결 과

    1. 문헌의 일반적 특성

    문헌의 게재연도는 2007년부터 2022년까지이었다. 2007년부 터 2009년까지 3편(8.8%), 2010년부터 2014년까지 4편(11.7%), 2015년부터 2019년까지 13편(38.3%), 2020년부터 2022년까 지 14편(41.2%)의 연구가 출판되어 게재 논문 편수는 2015년 이후 급격한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자 1명이 수행한 경우가 18편(52.9%)이었고, 2명 이상이 수행한 경우가 16편 (47.1%)이었다. 학술지의 종류는 총 23개이었으며, 간호학 관 련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이 10편(29.4%), 타 학문 분야 관련 학 술지가 24편(70.6%)이었다.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한국 융합학회지로 총 4편(11.8%)이 게재되었다. 문헌의 일반적 특 성을 요약한 것은 다음 Table 1과 같다.

    2. 문헌의 연구방법

    1) 연구설계

    총 34편의 연구 중 양적연구는 30편이었으며, 실험연구 25편 (73.5%), 조사연구 5편(14.7%)이 포함되었다(Table 2). 질적연 구는 총 4편으로 현상학 연구 1편(2.9%),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 2편(6.0%), 사례연구(case study) 1편(2.9%) 이었다.

    2) 연구대상자 및 연구 지역

    연구대상자인 간호대학생은 2학년이 11편(32.4%)으로 가 장 많았으며, 3학년은 7편(20.6%), 4학년은 6편(17.6%), 여러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4편(11.8%)으로 나타났다. 연구 1 편(2.9%)은 간호학과 학생 외에도 타 학과 학생도 포함하였다. 실험연구의 연구대상자 수는 19명에서 122명의 범위로 나타 났으며, 조사연구는 109명에서 160명의 범위로 나타났다. 질 적연구는 8명에서 21명의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여 현상학적 연 구와 초점집단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사례연구는 132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Table 3).

    연구 지역이 기술된 논문은 총 26편이었으며, 수도권에서 연 구가 진행된 논문은 10편(29.4%), 수도권 외 지역 16편(47.1%), 연구 지역이 기술되지 않은 논문은 8편(23.5%)으로 나타났다.

    3) 적용 교과목

    문헌에서 간호대학생에게 혼합학습을 적용한 교과목은 다 양하였다. 이론 교과목 18편(52.9%), 실습 교과목 10편(29.4%) 으로 실습보다는 이론 교과목에서 혼합학습 방법이 많이 적용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 교과목의 경우 성인간호학[19-24] 교 과목에서 혼합학습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기본간호학[25], 지역사회간호학[10] 등의 교과목과 흡연예방 프로그램[26]에 서도 활용되었다. 실습 교과목에서는 기본간호학실습[13,24, 27]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정신간호학실습[28,29], 시 뮬레이션실습[30,31] 등에서도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4) 혼합학습 방법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혼합학습을 적용한 방법은 총 34편 연구 중 질적연구[9,24-26]를 제외하고 30편을 분석하였다 (Table 4). 온라인과 대면 학습을 결합한 방식이 27편(90.0%) 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온라인 학습과 대면 학습 을 주별로 배치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학습을 진행하거나 온라 인으로 사전 ․ 사후 학습, 사례연구, 비대면 토론 등을 진행하고 대면 강의(또는 실습)를 혼합한 방법을 적용한 논문이 25편[10, 13,20,21,23,25-44], 실험군과 대조군에 온라인 개별학습과 그 룹학습을 각각 적용한 후 강의식 대면 수업을 혼합한 연구 1편 [24], 온라인과 대면 학습의 구성 내용이 기술되지 않은 연구 가 1편[42]이었다. 이외에도 동시식과 비동시식 온라인 강의 법을 혼합한 방법[22], 강의 또는 실습,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학습자 질문중심 학습, 코칭법을 활용 한 학습일지 피드백, 팀 프로젝트, 자가 학습 등의 다양한 학습 법을 혼합한 대면 수업 방법[45, 46]이 적용되었다.

    3. 문헌의 결과 측정변수

    양적연구 30편의 학습결과 측정변수를 분석한 결과 총 50개 의 측정변수가 활용되었으며(Table 4) 이론 교과목과 실습 교 과목에서 유사한 변수들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혼합학습의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11편의 논문[12,19,21,22, 25,32,35,39,40,42,46]에서 학습만족도, 수업만족도, 강의만족 도, 교육만족도, 실습만족도의 변수로 측정되었다. 혼합학습의 효과로 학습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11편의 논문[14,19,21,22, 24,27,38,40-43]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조절 학습능 력 변수로 측정되었다. 다음으로 많이 활용된 변수는 비판적 사 고성향[23-25,30,35,37] 또는 비판적 사고능력[27]이었다. 이 외에도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임상수행능력 등의 변 수가 여러 문헌에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4. 문헌의 주요 연구결과

    1) 양적연구결과

    양적연구 30편 중 대부분은 실험연구로 간호대학생에게 혼 합학습을 적용하여 학습 만족도를 파악하거나 학습 효과를 검 증하는 연구였다. 다수의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은 전반적으로 혼합학습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19,47,35], 수업만족도[46,39], 강의만족도[32], 교육만족도[25]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 또는 향상된 만족도가 확인되었다. 그 러나 혼합형 자율실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 집단 간 사전 사후 자율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도 있었다 [40]. 해당 연구에서는 자율실습 만족도를 설명하기에는 한계 가 있었으나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는 설문 항목에 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가 나타나 흥미롭고 긍정적 인 학습 경험이 제공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혼합학습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에 따르면 자기주도 학습능 력[19,24,27,34,36], 자기조절 학습능력[43]이 향상되거나 실 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박수호와 최효신[40]의 연구에서는 혼합형 자율실습을 적용한 실험군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사전 ․ 사후 평균점수의 차이가 대 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외 에도 혼합학습을 적용한 결과, 비판적 사고능력[27]이나 비판 적 사고성향[24,25,30,35]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고, 일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도 있었다[23]. 또한, 혼합학습 을 적용한 사후 학습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개별학습 군이 협동학습 군과 비교하면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도 혼합학습을 통해 문제해결 능력[45] 또는 문제해결 적 극성[37], 의사소통 능력[29] 또는 의사소통 기술[44], 임상수 행능력[44,31] 또는 임상적 능력[41] 등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었다.

    혼합학습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 행한 5편에서는 여러 변수 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시행하 였다. 한지영[10]에 따르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내재동기와 이러닝 학습 전략이었으며, 최현숙과 김경애[38] 에 의하면 내재적동기와 숙달접근목표가 자기조절학습에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서남숙, 우상준, 하윤주[21]의 연구에서 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박의정과 정경순[42]의 연구결과 학업 스트레 스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이었 으며,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 학교생활 만족도, 온라인 수업환경 만족도가 있었다. 박슭[22]의 연구에 서는 혼합학습이 학습몰입과 학습능력 및 학습 만족도를 향상 한 것을 확인하였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2) 질적연구결과

    질적연구 4편 중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혼합 실습 교육에 대한 경험이 ‘불안 속 수용하기’, ‘전면에 드러난 자율성’, ‘마음을 졸인 비대면 실습’, ‘지식 채워나가기’, ‘목표 달성이 가능한 다양한 접근’, ‘아쉬움이 남은 최선의 실습’의 6 개 범주로 나타났다[48].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내실습과 온라 인실습을 활용한 혼합학습 전략은 교과목 목표를 달성할 수 있 지만 오리엔테이션 강화, 자기주도적 학습 유도 전략 등의 보완 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초점집단면담을 수행한 연구 중 간호대학생의 혼합학습에 대한 인식을 파악한 연구[11]에서는 ‘철저히 준비되지 않은 적용과 운영’,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 탈’, ‘일방향 듣기’, ‘편리함’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기본간호 학실습 교과목 혼합학습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49]에서는 혼 합학습 수업 경험의 저해요인으로 ‘갑작스러운 수업방식 변경 에 대한 부적응’, ‘학습 능률 저하와 수업의 혼돈’, ‘온라인 수업 에 대한 양가감정’의 범주가 나타나고 촉진요인으로 ‘새로운 학습법에 대한 긍정적 경험’의 범주가 나타났다. 사례연구[47] 에서는 PBL을 활용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혼합학습을 통해 온 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지식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PBL을 통해 혼자 생각할 때보다 친구들의 의견을 듣는 것이 좋 았다고 보고되었다.

    논 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혼합학습 관련 국내 연구는 2007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점차 관심이 커지고 있는 연 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20년부터 2022년 사이에 관 련 연구가 급격히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코로나19의 장기적 확산으로 교육 관련 온라인 플랫폼의 수요가 급격히 증 가한 상황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39].

    간호대학생의 혼합학습 관련 연구는 주로 양적연구, 특히 실 험연구가 다수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개 실습 교과목보 다는 이론 교과목에서 적용되어 실습실과 임상 환경에서 혼합 학습 접근법을 적용한 문헌이 부족하였다는 국외 연구의 결과 와 유사하였다[50]. 이는 표정, 몸짓 등으로 타인과의 상호관계 형성이 풍부하게 이루어지는 간호학 실습 교육에서의 비대면 학습 활용의 한계점에 대한 우려로[28] 실습 교육에서 어떻게 온라인 학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잠재력을 탐구하 는 연구가 부족하여[50] 다양한 시도가 덜 이루어진 것으로 해 석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교내실습 교과목[13,24,27, 30,31]과 임상실습 교과목[24,28,29]에서 혼합학습을 적용하 였을 때도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므로 보다 다양한 실습 교과 목으로 혼합학습 적용이 확장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까지 는 풍부한 연구가 부족하나 게임 요소와 팀 기반 학습을 간호교 육 혼합학습에 활용하는 것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창의성, 혁신 성, 팀 기반 의사소통, 책임감 등의 임상적 기술을 학습하는 데 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므로[51] 이를 활용한 반복 연구와 더불어 실습실과 임상 환경에서의 간호대학생의 혼합학습 경 험을 탐구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은 혼합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전 반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19,47,35], 수 업만족도[46,39], 강의만족도[32], 교육만족도[25]에 대한 전 반적으로 높은 만족도 또는 향상된 만족도가 확인되었다. 그러 나 만족도를 확인한 일부의 연구에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도 구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만족도를 다양한 측면으로 측정하였 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혼합학습의 중재 경험 및 효과에 대한 보다 질적인 검토를 위하여 변수 측정에 사용된 각 도구의 타당 도와 신뢰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한편 혼합학습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용된 변수는 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으로, 이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과정의 주도권을 갖고 자신의 학습 욕구를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 및 실행하여 성취하는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과정을 말한 다[42].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은 혼합학습을 경험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또는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은 졸업 후 간호사라 는 확실한 목표가 있어 높은 학업 성취도를 달성하고자 노력하 며, 졸업 후에도 전문적인 의료인으로서 매우 적극적인 학습 태 도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38].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 록 학습계획과 실행 후 결과에 대한 자기 성찰이 고취되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나므로, 저학년의 자기주도적 학 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 겠다[42].

    Hrastinski [52]는 혼합학습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학습과 대면 학습을 혼합하는 구체적인 방법 에 초점을 두는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였다. 온라인 학습과 대 면 학습 교육자료의 경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두 방법 에서 전달되는 학습 분량에 대한 적절성, 대면 학습과 온라인 학습의 효과적인 배치 비율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 다[52]. 혼합학습은 그 개념적 범위가 넓어 폭넓은 유연성을 가 지므로 적용 방법의 적절성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를 통해 그 순 기능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53]. Kumar 등[9]은 온라인 학 습과 대면 학습의 비율의 수량화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온라 인 학습의 비중을 50% 이내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 에 포함된 문헌들에서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혼합학습의 기틀이 되는 모델이 언급되거나 혼합학습의 구성과 관련하여 방법론적 근거가 논의된 것을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 연구 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혼합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다룬 문헌을 살펴보도록 연구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겠으며, 학습 목표에 따라 다양한 혼합학습 모델을 활용한 더 욱 체계적인 혼합학습이 시도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에 포함된 문헌들의 연구 지역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이 모두 포함되어 국내 다양한 지역 단위에서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나, 연구대상자 수의 범위는 최대 160명으로 나 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가 일 대학교에 소속된 간호대학생 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과목 단위에서 교수자가 자체적으로 개 발한 혼합학습을 적용한 것임에 따라 연구대상자 수가 제한적 이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대상자를 포함하 여 표본 크기를 확대한 대단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만을 연구 범위로 하였다. 혼합학습 수 업방식을 개발하는 과정만 다룬 방법론적 연구 문헌은 제외하 였으며, 학위논문도 제외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주제 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함으로써 연구에 포함된 문헌의 질 평가 를 수행하지 않아[16] 잠재적인 비뚤림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 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혼 합학습 관련 국내에 출판된 연구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현재까지 는 실험연구가 우세하게 이루어졌으므로 향후 다양한 관련 변 수를 이용한 조사연구 등이 수행될 필요가 있겠으며, 양적연구 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을 혼합하는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 하여 연구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또한, 관련 연구가 축적됨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합 성할 것을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결과 간호교육에서의 혼합학습 적용과 관련한 관심 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 감염병 확산으로 다수가 집합 하여 대면하는 교육이 제한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연구가 양 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로 실험연구가 활발하였 으며 일 대학교 소속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국한한 소규모 연 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혼합 학습은 대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방식이 적용되었으 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뿐만 아니라 학습만족도와 비판적사 고능력, 임상수행능력 등 다양한 측면을 향상하였다. 간호대학 생 대상 혼합학습의 적용 결과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보고 되므로 간호교육에서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본다. 그러나 일부 일관되지 않은 연구결과도 보고되므로 유연성을 가진 혼합학습 방법을 더욱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대 단위 연구를 반복할 필요가 있다. 국내 간호교육에서의 혼합학 습의 효과 검증이 더욱 견고해져 효과적인 학습법으로 널리 활 용되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를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여러 연구가 축적됨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과 같은 근거 수준이 높은 연구가 이루어져 야 하겠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s

    JKAQR-8-1-82_F1.gif

    Flowchart of the search strategy.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cluded Studies (N=34)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ethods (N=34)

    Sample Size of Included Studies (N=34)

    Blended Learning Approaches and Related Variables (N=30)

    References

    1. Kwon HR, Moon EK, Park IW.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15;21(3):333-359.
    2.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Measures to support internalization of blended learn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2021. [cited 2023 Jan 16]. Available from: https://www.url.kr/u9l2nc
    3. Oh JH. The future brought forward by COVID-19, from the era of education to the era of learning. Issue & Analysis. 2020;421: 1-25.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54955
    4. Lee DJ, Kim M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of online lear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020;23 (3):359-377.
    5. Rasheed RA, Kamsin A, Abdullah NA. Challenges in the online component of blended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Computers & Education. 2020;144:103701.
    6. Kim S-J.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pandemic.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21;11(7):118-127.
    7. Lee JE. Changes in middle school education during the COVID -19 pandemic: A study through teacher interviews in Daegu,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2021;20(2):37-60.
    8. Kim JH, Kim JA, Lee SS. Analysis of blended learning research trends before and after COVID-19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2;22(15):711-730.
    9. Kumar A, Krishnamurthi R, Bhatia S, Kaushik K, Ahuja NJ, Nayyar A, et al. Blended learning tools and practices: A comprehensive analysis. Ieee Access. 2021;9:85151-85197.
    10. Han JY.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e-learning strategies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blended e-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1):16-23.
    11. Kim SJ.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20;10(6):59-69.
    12. Han JY, Lee EH. Learner's percep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e-learning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10;13(6):69-77. Available from: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027140592464.page
    13. Jho MY. Effects of writing reflective journal o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aking a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 23:430-439.
    14. Kim SM.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approac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12):330-338.
    15. Lee KH. The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to ACL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22;20(10):225-232. https://www.earticle.net/Article/A419216
    16. Peters MD, Godfrey CM, Khalil H, McInerney P, Parker D, Soares CB. Guidance for conducting systematic scoping reviews. JBI Evidence Implementation. 2015;13(3):141-146.
    17. Arksey H, O'Malley L. Scoping studies: towar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2005;8(1):19-32.
    18. Armstrong R, Hall BJ, Doyle J, Waters E. 'Scoping the scope' of a cochrane review. Journal of Public Health. 2011;33(1):147-150.
    19. Ha YJ, Woo SJ, Seo NS.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8;9:509-517.
    20. Yeom GJ, Yang JH, Kim JY, Kim HS.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echanical ventilation education program with blend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21;28(3):361-371.
    21. Seo NS, Woo SJ, Ha YJ.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1-19.
    22. Park S.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n Non-face-to-face mixed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2;13(5):401-411.
    23. Lee OS, Noh YG. The effect of the blended learning and casebased learning on learning strategi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1;19(11):373-379.
    24. Choi SH, So HS, Choi JY, Yoo SH, Kim MH, Song MO. Comparison of blended practicum combined e-learning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2):340-348.
    25. Jang HJ, Hong SY. Effect of blend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Engineering. 2016;11(5):297-304.
    26. Choi SH, Kim YH,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blend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2018;9:185-191.
    27. Park MM.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us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2;22(1):17-28.
    28. Song YM. Online and blended learning application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program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289-303.
    29. Suh YJ, Han EK.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22;20(2):61-70.
    30. Kim MK, Kim SH, Lee WS.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blended simulation of care for pediatric patient with asthm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9;25:496-506.
    31. Choi NY. Development of the blended learning program using simulation clinical practicum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2022; 8(3):69-78.
    32. Kim JH, Moon TY, Park JH.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strategies in human anatomic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 health allied sciences students and its effec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8;10:1431-1447.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964640
    33. Kim SD.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program on ethical value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567-575.
    34. Oh HK.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in nursing education course based on blended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5(4):529-538.
    35. Kim NY. Effects of online blended learning-based nursing diagnosis course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18:2843-2855. Available from: http://uci.kci.go.kr/resolution/result.do?res_cd=G704-000930.2016.18.5.020
    36. Kim SM.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approac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330-338.
    37. Kim KH. Team-based blended-learning's effe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and team-efficacy of female nursing students. Women's Health. 2017;18:53-69.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00524
    38. Choi HS, Kim KA. The effec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elfregulatory learning in the blended learning of nursing basic science clas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9;19:199-214.
    39. Kim SJ. A study o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9;10: 411-419.
    40. Park SH, Choi HS. Effects of blended learning method for reinforcing self-practice on nursing students achievements and confidence: Focusing on blood transfusion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2021;9(2):33-45.
    41. Oh HK.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clinical judgment, and skill performance ability.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2022;8:57-67.
    42. Park EJ, Jeong KS. Academic str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exposed to blend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22;10(2):145-153.
    43. Kim KH. Effects of blended learning-based laboratory practicum course us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with multimedia on clinical reaso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022;25(1): 76-85.
    44. Lee YJ. Effects of a blending 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clinical practicum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8;14:30-37. Available from: http://uci.kci.go.kr/resolution/result.do?res_cd=G704-001961. 2008.14.1.005
    45. Oh EK, Hwang SY, Lee JE, Kim M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ctivity and rest' integrated cour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624-633. Available from: https://ir.ymlib.yonsei.ac.kr/bitstream/22282913/96357/1/ T200701372.pdf
    46. Kim H.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in a nursing clas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16;7:311-325.
    47. Choi EY, Lee WS.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BL by employing blended learning on instruction in a nursing colleg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2): 96-104. Available from: http://uci.kci.go.kr/resolution/result.do?res_cd=G704-SER0 00012890.2010.16.2.002
    48. Lee YJ, Yang JH. Experience in mixed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1;12(12):479-490.
    49. Yoo MJ. Basic nursing practice blended learning in Corona 19 situation class experience - Focus group interview.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22;20(4):57-69.
    50. Leidl DM, Ritchie L, Moslemi N. Blend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A scoping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2020;86:104318.
    51. Ropero-Padilla C, Rodriguez-Arrastia M, Martinez-Ortigosa A, Salas-Medina P, Ayora AF, Roman P. A gameful blended- learning experience in nursing: A qualitative focus group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21;106:105109.
    52. Hrastinski S. What do we mean by blended learning? Tech- Trends. 2019;63(5):564-569.
    53. Dziuban C, Graham CR, Moskal PD, Norberg A, Sicilia N. Blended learning: the new normal and emerg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2018;15:1-16.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